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프로그래머스 / 신규 아이디 추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0 코딩테스트 연습 - 신규 아이디 추천 카카오에 입사한 신입 개발자 네오는 "카카오계정개발팀"에 배치되어, 카카오 서비스에 가입하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네오"에게 주어진 첫 업무는 새로 programmers.co.kr 문제 요약 > 규칙에 맞지 않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주어진 조건에 맞게 변환하자. 풀이 > 문제에서 제시한 순서대로 수행하였다. string 관련 stl을 잘 사용할수록 코드가 깔끔해지는 것 같다. (front, back, erase, empty 등)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st.. 2022. 1. 17.
프로그래머스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C++ 풀이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 programmers.co.kr 문제 요약 > 로또 종이가 오염되었다.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구하라. 풀이 > 0의 개수(zeroCnt)와 맞은 숫자 개수(commonCnt)를 센다. 0~45까지의 인덱스를 가지는 배열(array)을 이용하여, 인덱스가 0인 경우 zeroCnt++를 수행하고 배열의 값이 2인 경우 commonCnt.. 2022. 1. 16.
vi란? vi는 1976년도에 만들어진 유서 깊은 에디터이다. vi 및 vim의 역사에 대한 글이다. https://twobithistory.org/2018/08/05/where-vim-came-from.html Where Vim Came From Tracing the long lineage of software that brought us Vim. twobithistory.org 요약하자면, 옛날 옛적에는 텍스트를 편집할 때 라인 에디터(ed)라는 아주 불편한 것을 썼다고 한다. 그러던 중 1976년도에 빌 조이라는 전설의 프로그래머가 vi를 개발하며 텍스트 편집이 매우 편해졌고, 이후 vi를 오픈소스화한 여러 변종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vim(vi improved)이라고.. vi에는 일반 모드, .. 2021. 12. 30.
Shell이란? 셸(Shell)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사전적 의미로는 조개 껍데기를 뜻하는데, 내부의 커널이 있고 사용자는 이를 감싸고 있는 껍데기를 통해 커널에 접근한다는 개념으로 컴퓨터의 초창기인 60년대부터 사용된 단어라고 한다. 셸은 흔히 명령 줄 셸인 CLI와 그래픽 셸인 GUI로 구분한다. 그 외에도 이 환경으로 접속하는 보안접속 프로그램인 SSH(Secure Shell)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본격적으로 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셸과 터미널의 차이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셸 : 사용자가 글자를 타이핑하여 컴퓨터에게 명령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터미널 : 셸을 실행하기 위해 글자 입력을 받아 컴퓨터에게 전달하거나 컴퓨터의 출력을 글자 화면에 쓰는 .. 2021. 12. 30.
[개발도서 리뷰]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 개발자를 위한 탈무드 p18. 실용주의가 뜻하는 바는, 어떤 특정 기술에 매이면 안 되며, 개별 상황마다 그 상황에서 좋은 해결방안을 고를 수 있도록 충분한 배경지식과 경험을 가지는 것이다. 배경지식은 컴퓨터 과학의 기본 원리들을 이해하는 것에서 나오고, 경험은 다양한 범위의 실제 프로젝트들을 수행해보는 것에서 나온다. 이론과 실천의 결합이 여러분을 강하게 만든다. 1. A PRAGMATIC PHILOSOPHY 실용주의 철학 p31. 책임지기 책임은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이다. 뭔가 제대로 처리하겠다고 확약을 하더라도, 모든 면에서 꼭 직접적인 통제가 가능하지는 않다. 개인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 외에도 여러분의 통제를 벗어나는 위험요소에 대해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 실수를 저지르거나 잘못된 판단을 내렸다면, 정직하게.. 2021.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