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8

OSI 7 Layer | TCP/IP Updated Layer Background시험을 위해, 면접을 위해 달달 외우는 OSI 7 계층.이번에도 다시 달달 머릿속에 넣다가, 몇년째 이 개념을 이렇게 요약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로만 받아들이는게 아쉬워서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추가적인 정리를 해보기로 했다. 포스팅의 일부는 우아한Tech 채널의 아래 영상을 참고했다. 명강의,,https://www.youtube.com/watch?v=1pfTxp25MA8   Physical Layer (PHY, L1)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은 0과 1의 나열이다. 다시 말해, 0과 1만 주고받을 수 있다면 통신이 가능해진다.이렇게 0과 1이 나열된 bit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source에서는 아날로그의 전기적 신호로 바꾸고(encoding), target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해석(de.. 2022. 3. 14.
C++ 메모리 접근 형변환 https://igotit.tistory.com/entry/CC-%EC%99%80-%EB%A9%94%EB%AA%A8%EB%A6%AC-%EC%A0%91%EA%B7%BC-%ED%98%95%EB%B3%80%ED%99%98 C/C++. & 와 * 메모리 접근 형변환 uint32_t ui32 = 26584; uint8_t ui8[4]; ////32비트 정수 ui32 를 8비트 정수배열에 배치하기. uint8_t * pui8 = (uint8_t*)&ui32; // ui32 의 주소를 uint8_t 포인터 형으로 받고. ui8[0] = *(pui8+0); ui8[1] =.. igotit.tistory.com uint32_t st = 1234512345; uint8_t sst[4]; cout 2022. 1. 17.
vi란? vi는 1976년도에 만들어진 유서 깊은 에디터이다. vi 및 vim의 역사에 대한 글이다. https://twobithistory.org/2018/08/05/where-vim-came-from.html Where Vim Came From Tracing the long lineage of software that brought us Vim. twobithistory.org 요약하자면, 옛날 옛적에는 텍스트를 편집할 때 라인 에디터(ed)라는 아주 불편한 것을 썼다고 한다. 그러던 중 1976년도에 빌 조이라는 전설의 프로그래머가 vi를 개발하며 텍스트 편집이 매우 편해졌고, 이후 vi를 오픈소스화한 여러 변종들이 등장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vim(vi improved)이라고.. vi에는 일반 모드, .. 2021. 12. 30.
Shell이란? 셸(Shell)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사전적 의미로는 조개 껍데기를 뜻하는데, 내부의 커널이 있고 사용자는 이를 감싸고 있는 껍데기를 통해 커널에 접근한다는 개념으로 컴퓨터의 초창기인 60년대부터 사용된 단어라고 한다. 셸은 흔히 명령 줄 셸인 CLI와 그래픽 셸인 GUI로 구분한다. 그 외에도 이 환경으로 접속하는 보안접속 프로그램인 SSH(Secure Shell)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본격적으로 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셸과 터미널의 차이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셸 : 사용자가 글자를 타이핑하여 컴퓨터에게 명령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터미널 : 셸을 실행하기 위해 글자 입력을 받아 컴퓨터에게 전달하거나 컴퓨터의 출력을 글자 화면에 쓰는 .. 2021. 12. 30.